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도리를 찾아서 영화 보고 할 수 있는 독후활동 3가지, 결론

by 4계절나기 2025. 5. 21.
반응형

도리를 찾아서 영화 보고 한 독후활동 사진

영화 ‘도리를 찾아서(Finding Dory, 2016)’는 단순한 애니메이션이 아니다. 짧은 기억력을 가진 도리가 가족을 찾아 떠나는 여정을 통해 아이들에게 가족의 사랑, 자아 존중감, 그리고 도전의 의미를 자연스럽게 전달한다. 특히 6~8세 유아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영화로, 감상 후 다양한 독후활동을 통해 사고력, 표현력, 감정 공감을 함께 키울 수 있다. 이 글에서는 도리 감상 후 아이들과 함께 해볼 수 있는 실용적인 독후활동 3가지를 제안한다.

감정 나무 그리기 활동: 도리는 어떤 기분이었을까?

도리는 영화 내내 다양한 감정을 겪는다. 혼자 남겨졌을 때의 두려움, 부모를 떠올릴 때의 슬픔, 친구들을 만났을 때의 반가움 등 감정의 변화가 뚜렷하다. 아이들은 이 장면을 따라 자신의 감정을 돌아보며 ‘감정 나무’를 완성해본다.

🟡 활동 방법
- 도화지에 나무를 그리고, 나뭇잎 하나마다 ‘도리가 느꼈을 감정’을 적는다.
- “슬펐을 때는 왜?”, “기뻤을 땐 누구 덕분에?” 등의 질문을 통해 감정 원인도 함께 나눈다.
- 활동 후, “나는 언제 이렇게 느꼈는지” 자신의 감정을 공유하며 감정 표현 연습.

👉 효과: 정서 인식력 향상, 감정 어휘 확장, 공감 능력 발달

도리에게 편지 쓰기: 나는 도리에게 어떤 친구일까?

도리는 짧은 기억력을 갖고 있어 실수를 많이 하지만, 포기하지 않고 계속 앞으로 나아가는 모습을 보여준다. 아이들은 그런 도리에게 편지를 쓰며 ‘응원’과 ‘공감’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하게 된다.

🟡 활동 방법
- “나는 도리에게 친구가 되어줄 수 있을까?”라는 질문을 시작으로, 도리에게 하고 싶은 말을 편지로 써본다.
- “넌 잘하고 있어!”, “기억이 없어도 괜찮아”와 같은 격려 문장을 포함하도록 유도한다.
- 아이들의 편지를 모아 ‘도리 우체통’에 넣어 전시하거나 함께 읽는 시간 가지기

👉 효과: 감정 표현력 강화, 언어 구성 능력 향상, 타인 이해 능력 발달

‘나도 도리처럼 해봤어요’ 발표 활동: 나의 도전 이야기 나누기

도리는 어려움 앞에서도 “Just keep swimming(계속 헤엄쳐)”이라는 말을 되뇌며 자신을 믿고 나아간다. 이 태도는 아이들에게 자기 효능감을 심어주는 좋은 예가 된다.

🟡 활동 방법
- “도리처럼 무언가를 끝까지 해본 경험이 있나요?” 질문으로 시작
- 아이들이 스스로 도전했던 일이나 노력했던 일을 그림, 말, 몸짓으로 표현해보기
- 교사와 부모는 아이의 시도 자체를 긍정하며 격려 피드백 제공

👉 효과: 자기 표현력 강화, 자존감 향상, 도전 행동 긍정화

‘도리를 찾아서’는 아이들에게 친숙한 캐릭터와 밝은 그림체로 접근하지만, 그 안에는 깊은 메시지가 담겨 있다. 감상 후 단순한 감정 표현을 넘어, 구체적인 활동으로 연결하면 아이들은 스스로 사고하고 말하고 공감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.

도리처럼 ‘나도 할 수 있다’는 용기, ‘기억하지 않아도 사랑은 남는다’는 감정, 그리고 ‘누군가와 함께하는 소중함’을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진짜 교육이다.

아이와 함께 도리를 보고, 대화하고, 표현해보자. 이 영화는 시작일 뿐, 진짜 성장은 그 이후에 이루어진다.

 

결론 : 감동을 활동으로 연결할 때, 아이는 한 뼘 자랍니다.


‘도리를 찾아서’는 아이들에게 친숙한 캐릭터와 밝은 그림체로 접근하지만, 그 안에는 깊은 메시지가 담겨 있다. 감상 후 단순한 감정 표현을 넘어, 구체적인 활동으로 연결하면 아이들은 스스로 사고하고 말하고 공감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.

도리처럼 ‘나도 할 수 있다’는 용기, ‘기억하지 않아도 사랑은 남는다’는 감정, 그리고 ‘누군가와 함께하는 소중함’을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진짜 교육이다.

아이와 함께 도리를 보고, 대화하고, 표현해보자. 이 영화는 시작일 뿐, 진짜 성장은 그 이후에 이루어진다.